난카이 해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카이 해곡은 일본 남서부 해안에서 활발한 지진 활동이 일어나는 섭입대로,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응력이 축적되어 거대 지진을 발생시킨다. 이 지역은 지질학적 특징으로 인해 지진과 쓰나미의 위험이 높으며, IODP를 통한 굴착 계획이 진행되어 지진 발생 메커니즘과 과거 지진 기록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가스 하이드레이트와 같은 탄화수소 자원의 잠재적 공급원이며, 다양한 해양 생물 군집이 서식하는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해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해 - 필리핀해판
필리핀해판은 태평양판과의 수렴형 경계에서 생성된 해양판으로, 면적 확장, 회전, 북쪽 이동, 서필리핀해분 확장, 해령 및 호상열도 형성, 해구 섭입, 판 충돌 등 복잡한 지각 활동을 거쳐 현재는 섭입대와 단층대로 둘러싸여 인근 지역에 재해 위험을 야기한다. - 필리핀해 - 구마노나다
구마노나다는 와카야마현과 미에현에 걸쳐 리아스식 해안과 기암괴석이 특징이며,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수산자원이 풍부하고 참치 어업이 활발했던 간사이와 에도를 잇는 해상 교통로였으나, 지진, 쓰나미, 해난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해양 환경 모니터링과 재해 대비가 필요한 곳이다. - 섭입대 - 일본 해구
일본 해구는 태평양판과 오호츠크판의 수렴경계에 위치한 깊고 활발한 지진 활동을 보이는 해구로, 잦은 지진과 쓰나미 위험을 야기하며 지질학적 및 해양생물학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다. - 섭입대 - 류큐 해구
류큐 해구는 대만 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필리핀 해 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섭입하는 지진대와 관련된 해구이며, 과거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했고, M9급의 초거대 지진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며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존 가치가 높다. - 일본의 지질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일본의 지질 - 후지산
후지산은 혼슈 중앙부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3,776.24m의 활화산이자 일본의 상징적인 산으로, 신성시되는 신앙의 중심지이자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어 일본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제적인 관광지이지만 과잉 관광 및 화산 활동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난카이 해곡 | |
---|---|
개요 | |
이름 | 난카이 해곡 (南海トラフ) |
로마자 표기 | Nankai Toreopeu |
영어 이름 | Nankai Trough, Southern Sea Trough |
위치 | 일본 혼슈 남쪽 해역 |
지질학적 특징 | |
길이 | 900km |
형태 | 해곡 |
지진 관련 | |
관련 지진 |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
위험 요소 | 지진, 쓰나미 |
기타 | |
관련 기관 | 기상청 |
참고 자료 | 浜岡原子力発電所 プレート間地震の地震動評価について (補足説明資料) |
2. 지질학적 특징
판 구조론 해석에 따르면 난카이 해곡은 밀도가 높은 해양판인 필리핀해판이 밀도가 낮은 대륙판인 유라시아판(아무르판)과 충돌하여 그 아래로 침강하는 섭입대이다.
난카이 해곡의 해구 축은 스루가만의 후지 강 하구 부근을 기점으로 오마에자키 앞바다까지 남하한 후, 남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시오노미사키 앞바다, 무로토미사키 앞바다를 지나 규슈 앞바다에 이른다. 규슈 동쪽 앞바다에 있는 서쪽 끝은 류큐 해구로 이어진다. 동쪽 끝은 육지인 후지 산, 하코네 산, 탄자와 산지 부근을 거쳐 사가미 해곡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어느 단층대가 경계인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9]
제2차 세계 대전 후, 사와무라 다케오는 난카이 지진 및 도난카이 지진의 진원역이 서일본에 평행하게 동서로 뻗어 있다는 점과 이러한 진원역이 충상 단층(스러스트)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난카이 스러스트"라고 명명했다.[10] 이후 판 구조론 이론이 일반화되면서 단순한 충상 단층이 아닌 섭입대임이 밝혀졌고, 깊이 6,000m 미만이므로 "난카이 해곡"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난카이 해곡의 거대 지진 진원역에서는 육상의 GPS 관측망에서 육지 쪽 판이 서북쪽으로 이동하고 있어 판 사이의 고착으로 육지 쪽 유라시아판도 필리핀해판과 함께 끌려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7]
2. 1. 판 이동 속도
판 경계에 해령이 없기 때문에 난카이 해곡에서는 판 이동 속도에 대한 기존의 지질학적 추정치를 구하기가 어렵다. 이 지역은 원래 NUVEL 모델(DeMets et al., 1990)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필리핀해판을 포함한 보다 최근의 연구는 NUVEL-1A 모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Zang et al., 2002). 이 연구는 난카이 해곡에서의 섭입 속도를 약 43mm로 추정한다. REVEL 기반 계산에 따르면 해구에는 변형이 축적되지 않으며, 이동 속도는 3mm에서 11.1mm 범위로 계산되었다(Sella et al., 2002).[7] NUVEL-1A 판 이동 모델에는 필리핀해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이 모델이 12개의 판만 사용했고 필리핀해와 유라시아 수렴 경계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라시아에서 북아메리카로의 판 이동을 사용한 추정 속도는 2mm였으며(DeMets et al., 1990), 이는 REVEL 모델과 일치하지 않아 NUVEL-1A 모델의 추가적인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해상보안청이 2011년부터 약 4년간 실시한 관측에서는 난카이 해곡을 따라 해저에서도 육지 쪽 판이 북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 다시 한번 나타났으며, 이동 속도는 해역마다 다르지만 최대가 되는 엔슈나다(하마나호 앞바다)와 기이 수도 앞바다에서는 최대 연간 6cm 정도의 이동으로 추정된다.[8]
2. 2. 퇴적물
난카이 해곡의 퇴적물은 주로 해구-쐐기 터비다이트이다. 암석 내 공극률(빈 공간의 비율) 유지 증가 징후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공극률은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만, 시추공 1173에서는 깊이가 깊어져도 공극률이 비정상적으로 보존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는 퇴적 후에 오팔 성분의 시멘트 작용으로 인해 공극률이 보존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난카이 해곡과 시코쿠 분지에서는 쇄설성(잘게 부서진) 점토, 주로 스멕타이트의 함량 변화가 시간과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깊은 곳에서는 퇴적물 내 스멕타이트 점토 함량이 증가하는데, 이는 퇴적물을 만든 암석의 기원이 변화했음을 의미한다.[1] 또한, 스멕타이트는 지열에 의해 변질되어 일라이트 점토로 변환된다.[1]
2. 3. 지각 구조
난카이 해곡은 활발한 변형과 지진 활동이 일어나는 지역이다. 변형은 가장 바깥쪽의 중첩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육지 방향으로 상당한 양의 "순서 밖" 밀림이 발생한다. Operto et al.(2006)의 연구에서는 전파형태 토모그래피를 사용하여 난카이 해곡에서 격렬한 지각 활동이 일어나는 여러 지역을 확인했다. 상부 융기 프리즘의 상부와 그 아래의 백스톱은 현재 상당한 압축 압력을 받고 있다. Operto et al.(2006)은 여러 밀림 단층을 확인했으며, 이 중 섭입대에 가장 가까운 밀림 단층이 활성화되어 있다. 또한, Pisani et al.(2006)은 난카이 해곡을 따라 원시 밀림과 박리대 표면을 확인했다.[1]판 구조론 해석에 따르면 난카이 해곡은 밀도가 높은 해양판인 필리핀해판이 밀도가 낮은 대륙판인 유라시아판(아무르판)과 충돌하여 그 아래로 침강하는 섭입대이다.
난카이 해곡의 거대 지진 진원역에서는 육상의 GPS 관측망에서 육지 쪽 판이 서북쪽으로 이동하고 있어 판 사이의 고착으로 육지 쪽 유라시아판도 필리핀해판과 함께 끌려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7] 해상보안청의 관측(2011년~2015년)에서는 해저에서도 육지 쪽 판이 북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동 속도는 해역마다 다르지만 최대가 되는 엔슈나다(하마나호 앞바다)와 기이 수도 앞바다에서는 최대 연간 6cm 정도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8]
난카이 해곡의 해구 축은 스루가 만의 후지 강 하구 부근을 기점으로 오마에자키 앞바다까지 남하한 후, 남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시오노미사키 앞바다, 무로토미사키 앞바다를 지나 규슈 앞바다에 이른다. 규슈 동쪽 앞바다에 있는 서쪽 끝은 류큐 해구로 이어진다. 동쪽 끝은 육지인 후지 산, 하코네 산, 탄자와 산지 부근을 거쳐 사가미 해곡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어느 단층대가 경계인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9]
제2차 세계 대전 후, 사와무라 다케오는 난카이 지진 및 도난카이 지진의 진원역이 서일본에 평행하게 동서로 뻗어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진원역이 충상 단층(스러스트)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난카이 스러스트"라고 명명했다.[10] 이후 판 구조론 이론이 일반화되면서 단순한 충상 단층이 아닌 섭입대임이 밝혀졌고, 깊이 6,000m 미만이므로 "난카이 해곡"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3. 지진 활동
난카이 해곡은 일본 남서부 아래로 섭입하는 필리핀해판 때문에 발생하는 활발한 지진 활동 지역이다. 파열대는 지진 모델링과 관련하여 5개의 영역으로 세분화되었으며, 이들은 90~150년 주기로 지진 발생 빈도가 다르게 나타난다.[11]
역사적으로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한 가장 최근의 대규모 지진은 1944년 기이반도 해역에서 발생했다. 최근의 해저 지진계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지진 활동이 해곡 축 근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1] 난카이 해곡 서부 지역에서는 시코쿠 해분의 후열도 분지 지각을 포함, 섭입된 해저 지형의 불규칙성과 상부 맨틀의 사문암화로 인해 지진 활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11] 난카이 해곡을 따라 섭입하는 판의 기울기 각도가 크게 증가하는 지역에서 최근의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3. 1. 지진 발생 메커니즘
난카이 해곡은 일본 남서부 해안 아래로 섭입하는 필리핀해 판으로 인해 발생하는 활발한 지진 활동 지역이다. 이 지역은 지진 모델링을 위해 5개의 영역으로 나뉘며, 각 영역은 90~150년 주기로 지진 발생 빈도가 다르게 나타난다.[11]2000년에는 IODP에 의해 시추공(808, 1173 사이트)에 수문 관측소가 설치되어, 섭입하는 필리핀해 판으로 인한 공극 유체 압력 변화를 정량화했다. 이 관측소는 주 단층의 앞부분(808 사이트)과 전선 단층대에서 약 11km 떨어진 곳(1173 사이트)에 위치해 있다. 관측 결과, 시추공 근처 퇴적물의 변형과 매우 낮은 지진 떼의 영향으로 압력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지층 내 탄성 변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상 쪽 압력 변화는 이전의 주요 단층 지진으로 인한 퇴적물의 이완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으며, 짧은 기간의 지진 활동은 해산과 같은 해저 지형의 융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Kanda 외 (2004년)의 지진 데이터 역해석을 통해 밝혀졌다.
최근 해저 지진계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지진 활동은 해곡 축 근처에서 발생한다.[11] 난카이 해곡 서부 지역에서는 시코쿠 해분의 후열도 분지 지각을 포함한 섭입된 해저 지형의 불규칙성과 상부 맨틀의 사문암화로 인해 지진 활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대규모 지진은 섭입하는 판의 기울기가 크게 증가하는 지역에서 발생했다.
3. 2. 과거 지진 기록
난카이 해곡 거대 지진 문서를 참고하라.난카이 해곡에서는 마그니튜드(M) 8 정도의 거대 지진이 약 100년에서 200년 주기로 발생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 발생한 지진은 1944년 기이 반도 남동쪽 해상을 진원으로 하는 도난카이 지진(M 7.9, Mw 8.2)과, 1946년 역시 기이 반도 남쪽 해상을 진원으로 하는 난카이 지진(M 8.0, Mw 8.4)이다. 이 두 지진으로 인해 사망자가 천 명 이상 발생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그러나 스루가만 부근의 난카이 해곡(스루가 해곡)에서는 1854년 안세이 도카이 지진 이후 150년 이상 지진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
호에이 지진 때는 시코쿠 해역에서 스루가만까지 넓은 지역에서 한 번에 지진이 발생하여 연동형 지진이 되었다. 이처럼 난카이 해곡에서는 지진이 반복될 때마다 거대 지진의 발생 양상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발생 이후, 난카이 해곡에서도 M9급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난카이 해곡 거대 지진'''으로 상정을 재검토하게 되었다.
난카이 해곡 서쪽 끝 부분(휴가나다)에서 발생하는 휴가나다 지진은 M7.6 정도의 지진을 약 200년 주기로 일으키며, M7.0 - 7.2의 지진은 약 20 - 27년 주기로 발생한다. 1498년 휴가나다 지진은 난카이 지진과 연동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1707년 호에이 지진은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연동형 지진에 휴가나다 지진도 연동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난카이 해곡 거대 지진은 최대 Mw 9.1, 최대 진도 7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효고현, 와카야마현, 도쿠시마현, 가가와현, 에히메현, 고치현, 미야자키현에서 관측하고,[13] 사망자 24.7만 명, 최대 쓰나미 높이 34m, 경제 피해는 자산 약 171.6조엔, 경제 활동 영향 약 36.2조엔로 예측되고 있다.[14]
3. 3. 지진 예측 및 대비

난카이 해곡에서는 마그니튜드(M) 8 정도의 거대 지진이 약 100년에서 200년 주기로 발생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1944년 도난카이 지진(M 7.9, Mw 8.2)과 1946년 난카이 지진(M 8.0, Mw 8.4)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스루가만 부근에서는 1854년 안세이 도카이 지진 이후 150년 이상 지진이 발생하지 않아, 도카이 지진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대규모 지진 대책 특별 조치법에 따른 예지 체제가 정비되었다.
호에이 지진처럼 넓은 지역에서 동시에 지진이 발생하는 연동형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지진을 상정하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M9급을 포함한 '''난카이 해곡 거대 지진'''으로 상정을 재검토하게 되었다.
휴가나다에서 발생하는 휴가나다 지진은 M7.6 전후의 지진을 약 200년 주기로 일으키며, 1498년 휴가나다 지진이나 1707년 호에이 지진처럼 난카이 지진과 연동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난카이 해곡은 해구형 지진 연구에서 중요한 지역이며,[11] 지진 발생대 굴착 계획으로 쓰나미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12]
난카이 해곡 거대 지진은 최대 Mw 9.1, 최대 진도 7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효고현, 와카야마현, 도쿠시마현, 가가와현, 에히메현, 고치현, 미야자키현에서 관측할 것으로 예상되며,[13] 사망자는 24.7만 명, 최대 쓰나미 높이는 34m, 경제 피해는 171.6조엔, 경제 활동 영향은 36.2조엔로 예측된다.[14]
4. 난카이 해곡 지진 발생대 굴착 계획
난카이 해곡은 활발하게 변형이 일어나고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가장 바깥쪽의 중첩대에서 변형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육지 방향으로 상당한 양의 "순서 밖" 밀림이 발생한다.
IODP 탐사 370은 난카이 해곡에서 시추를 통해 지구상 가장 깊은 곳의 생명체의 온도 한계를 찾으려고 하였다. 난카이 해곡은 섭입하는 젊고 뜨거운 필리핀해 지각판과의 경계 부근에서 열 흐름이 특히 높다. 목표 지점에서는 지열 경사가 태평양 다른 지역보다 약 4배 더 가파르다.
4. 1. 굴착 계획 개요
2003년 10월부터 24개국이 참여하는 다국적 통합 국제 심해 굴착 계획(IODP)의 일환으로 "난카이 해곡 지진 발생대 굴착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일본의 지구 심부 탐사선 "지큐"와 미국의 굴착선 2척을 주력으로 하고, 유럽이 제공하는 특정 임무 굴착선을 포함한 여러 굴착선에 의해 심해저 굴착 조사가 진행 중이다. 목적은 지구 환경 변동, 지구 내부 구조, 지각 내 생명권 등을 규명하는 것이며, 전체적으로 4단계(스테이지)로 나뉜 굴착이 계획되어 있다. 2011년 시점에서는 스테이지 3까지 종료되었으며, 채취한 코어의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스테이지 1 (2007년 9월 - 2008년 2월)
- 난카이 해곡을 따라 거대한 분기 단층 및 판 경계 단층의 얕은 부분(1,400m 이내)에 대한 라이저리스 굴착을 실시했다. 기이 반도 앞바다 구마노나다에서 여러 지점의 지층 샘플을 8곳에서 채취했다.
- 스테이지 2 (2009년 5월 - 7월)
- 거대 지진 발생대 바로 위를 굴착(라이저 및 라이저리스 굴착)하여 지질 구조 및 상태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굴착공 내에 지진 준비 과정의 모니터링을 위한 관측 장비를 설치했다. 또한, 판과 함께 지진 발생대에 침강하기 전의 해저 퇴적물 시료를 3곳에서 채취했다.
- 스테이지 3 (2010년 7월 - 2011년 1월)
- 거대 지진을 반복해서 일으키는 지진 발생대에 직접 도달하는 라이저 굴착을 실시하여, 지진 발생 물질 시료를 직접 채취했다.
- 스테이지 4
- 거대 지진 발생대의 굴착공에 장기간 관측 가능한 관측 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 장래에는 지진·쓰나미 관측 감시 시스템(DONET)과의 연계도 검토 중이다.
4. 2. 주요 연구 성과
Operto et al.(2006)의 연구에 따르면, 전파형태 토모그래피를 사용하여 난카이 해곡에서 격렬한 지각 활동이 일어나는 여러 지역이 확인되었다. 상부 융기 프리즘의 상부와 그 아래의 백스톱은 현재 상당한 압축 압력을 받고 있다. Operto et al.(2006)은 여러 밀림 단층을 확인했으며, 이 중 섭입대에 가장 가까운 밀림 단층이 활성화되어 있다.[1] 또한, Pisani et al.(2006)은 난카이 해곡을 따라 원시 밀림과 박리대 표면을 확인했다. 최근 섭입 퇴적물에서 일라이트 점토로부터 물의 방출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섭입대에서 스멕타이트가 일라이트로 변환되는 것(일라이트화)은 섭입되지 않는 퇴적물과 비교하여 섭입대에서 더 높은 온도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Saffer et al., 2005).[1] IODP 탐사 370은 난카이 해곡에서 시추를 통해 지구상 가장 깊은 곳의 생명체의 온도 한계를 찾으려고 할 것이다. 난카이 해곡은 섭입하는 젊고 뜨거운 필리핀해 지각판과의 경계 부근에서 열 흐름이 특히 높다. 목표 지점에서는 지열 경사가 태평양 다른 지역보다 약 4배 더 가파르다. 다른 지역에서 약 130°C의 온도에 도달하려면, 탐사 370에서 계획한 1.2km가 아닌 해저면 아래 약 4km에서 코어를 채취해야 할 것이다.[1] 결국, IODP 탐사 370은 해저면 아래 1.2km에서 약 120°C의 온도에 도달했으며,[2][3] 열수 유체로 인해 국부적인 깊이에서 훨씬 더 높은 온도가 나타난다는 광물 증거가 발견되었다.[3]2011년 난카이 해곡 지진 발생대 굴착 계획 스테이지 1의 성과로서 채취한 코어에서 쓰나미 단층의 활동 흔적을 처음으로 발견[15]했고, 1944년 동해 지진의 쓰나미 단층을 특정[16][17]했다. 또한 과거의 동해 지진의 활동 이력으로, C004 코어에서 종래 알려지지 않았던 기원전 1500년 ±34년과 약 10600년 전의 흔적을 발견했다.
2012년 1월 27일, 도쿄 대학 대기 해양 연구소 등의 연구팀이 난카이 해곡에서 거대 단층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1707년에 발생한 호에이 지진의 단층 흔적으로 보인다.
5. 관측 시스템
해양연구개발기구가 운영하는 지진 및 쓰나미 상시 관측 감시 시스템으로, 구마노灘에 DONET이, 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고치현 앞바다의 기이 수도에 DONET2가 운용 중이다. 관측 데이터는 방재과학기술연구소 및 기상청에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있다.[4]
6. 탄화수소 자원
난카이 해곡 해양 가장자리에서 채취한 시추 코어는 퇴적물이 석유 생성 이전의 초기 단계에만 도달했음을 보여준다.[3] 그러나 난카이 해곡은 메탄 하이드레이트 형태의 탄화수소 연료의 주요 공급원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4년 기준으로 상업적 이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해저 깊은 곳에서는 물이 메탄과 결합하여 얼음과 같은 고체 구조인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에 필요한 물은 섭입하는 슬래브와 덮개 판의 탈수 작용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Muramatsu et al., 2006). 해구에 가까운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주로 섭입 관련 탈수 작용에서, 멀리 떨어진 곳은 메탄이 풍부한 물의 측면 이동 결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Muramatsu et al., 2006). 이는 시추공을 통해 할로겐 원소(요오드, 브롬, 염소) 농도와 방사성 연대 측정을 통해 밝혀졌다(Tomaru et al., 2007). 요오드 연대 측정 결과는 다양한 메탄 공급원을 시사한다.
수렴 경계부는 지구 전체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피의 3분의 2를 차지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Kastner, 2001). 난카이 해곡은 다량의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며, 관련 연구가 가장 활발한 지역 중 하나이다(Collett, 2002; Saito et al., 2007). 난카이 해곡 가스 하이드레이트 정보는 2000년 일본 국립 석유 공사가 처음 발표했으며, 1990년대 후반 시추공 데이터에 기반한다. 이 지역 가스 하이드레이트 축적은 해구의 모래가 풍부한 지역에 의해 조절된다(Collett, 2002). 시추 코어링 결과 최소 3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구역이 확인되었다. Krason, 1994는 0.42조m3에서 4.2조m3의 메탄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했다. 지진학적으로 높은 바닥 모의 반사기는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Colwell et al., 2004). 메탄이 풍부한 지층은 음파 주파수(10~20 kHz)의 높은 감쇠 영역과 지진 주파수(30~110 Hz)의 약간의 감쇠 영역으로 식별되었다(Matsushima, 2006).
7. 생물상
다수의 용천 생물 군집이 확인되었으며, 생물 다양성 관점에서 난카이 해곡, 스루가 만, 규슈 해역이 중요한 해역으로 선정되었다.[18]
참조
[1]
웹사이트
T-Limit of the Deep Biosphere off Muroto
https://deepcarbon.n[...]
2016-09-08
[2]
간행물
International Ocean Discovery Program Expedition 370 Preliminary Report
http://publications.[...]
2019-10-24
[3]
논문
Hot fluids, burial metamorphism and thermal histories in the underthrust sediments at IODP 370 site C0023, Nankai Accretionary Complex
2020-02-01
[4]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Ocean Discovery Program Volume 370 Expedition Reports
http://publications.[...]
2019-10-24
[5]
웹사이트
日本国政府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地震調査委員会 地震本部 > 3.評価対象領域について > 図1南海トラフの評価対象領域とその区分け
https://www.jishin.g[...]
[6]
웹사이트
浜岡原子力発電所 プレート間地震の地震動評価について (補足説明資料)
https://www2.nsr.go.[...]
中部電力
2021-01-20
[7]
PDF
GPS 데이터인バージョン
http://www.jamstec.g[...]
平成21年度地球シミュレーター利用報告会
[8]
PDF
南海トラフ巨大地震の想定震源域で、海底の詳細な動きを初めて捉えました~海底地殻変動観測の最新成果~
https://www.kaiho.ml[...]
海上保安庁
2015-08-18
[9]
PDF
相模トラフ・伊豆衝突帯のプレート境界断層
https://www.bousai.g[...]
2012-11-27
[10]
서적
五つの大地震
毎日新聞社
[11]
웹사이트
1946年南海地震震源過程から推定された南海トラフ巨大地震に対するフィリピン海プレート形状の影響
https://doi.org/10.5[...]
[12]
웹사이트
海溝軸への地震破壊伝播は南海トラフでも
https://doi.org/10.1[...]
[13]
웹사이트
瀬戸内も「震度7」…「南海トラフ巨大地震」が起きたら、破滅的な揺れが襲う「愛媛県」の地名
https://gendai.media[...]
株式会社 講談社
2023-11-16
[14]
웹사이트
南海トラフ地震防災対策推進基本計画フォローアップ結果(概要)
https://www.bousai.g[...]
内閣府
2022-12-02
[15]
웹사이트
津波断層の活動痕を初めて発見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よる南海トラフ地震発生帯掘削計画の成果~
https://www.jamstec.[...]
[16]
웹사이트
断層掘削研究によって明らかになった地震時の断層滑り挙動とその物理化学的側面
https://doi.org/10.5[...]
[17]
웹사이트
東南海地震(1944年)の津波断層を特定する物的証拠の発見
https://www.jamstec.[...]
[18]
웹사이트
沖合海底域 313 南海トラフ・駿河湾・九州海域
https://www.env.go.j[...]
環境省
2022-12-09
[19]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20]
문서
소멸된 판
[21]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